15일에 발표된 7~9월기 일본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는 개인소비 및 설비투자의 부진으로 실질적으로 전기 대비 0.5% 감소, 연율 환산 2.1%로 민간조사 예측치(0.6%감소)를 밑돌았다. 물가와 자재 가격이 함께 오르면서 내수의 힘을 잃었고 경기에 정체 분위기가 감돌기 시작했다.
절약 지향 기조가 고조
“경기의 지지대가 약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 농림중금종합연구소의 미나미 다케시 이사 연구원은 이렇게 분석한다.
올여름은 4년 만에 코로나19 거리두기가 없는 여름휴가로 GDP의 과반을 차지하는 개인소비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됐다. 다만, 뚜껑을 열어 보니 전기 대비 0.04%로 2사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고물가로 인해 절약 지향 기조가 높아지면서 소비 회복을 가로막고 있다.
내각부 간부는 “소비자 마인드가 제자리걸음 중”이라고 지적한다. 올해 춘계노사협상(춘투)에서는 30년 만의 임금인상 수준을 보였지만 물가상승을 따라잡지 못해 실질임금은 9월까지 18개월 연속 마이너스였다. “고물가를 경험한 적이 없는 사람도 많아 경계감은 강하다”고 덧붙였다.
답보 상태를 보이고 있는 상황은 설비투자 분야도 마찬가지다. 0.6% 감소하며 2사분기 연속 마이너스였다. 일본은행은 9월 전국기업단기경제관측조사(단관)에서 2023년도 설비투자계획을 전규모·전산업에서 13.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투자의 기세가 없다. 자재 가격이 상승한 영향 이외에 “중국 경제의 감속으로 투자를 계획했지만 진행이 안된다는 이야기가 여기저기 들린다”(내각부 간부).
실제, 중국에서는 부동산 시황의 침체기가 길어지면서 7~9월기 실질 GDP가 전기 대비 1.3%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한편, 미국의 같은 기간 실질 GDP는 전기 대비 4.9% 증가로 고성장이 이어졌지만, 고공행진하는 금리가 실물 경제에 서서히 영향을 미쳐 향후 감속할 것이라는 견해가 강하다.
경제대책의 효과는
수출은 2사분기 연속 플러스를 유지했지만 향후 상황이 어려워지면 일본 경제는 ‘견인 역할의 부재’(미나미 이사연구원)에 빠질 우려가 있다. 일본 정부는 2일 종합경제대책을 결정해 국민의 가처분소득 확대 및 기업의 경제성장력 제고를 강력히 뒷받침하기로 했다. 상장기업들이 사상 최고 수준의 이익을 계속 경신하는 가운데, 벌어들인 이익이 임금 인상과 투자로 돌아가는 선순환을 이룰 수 있을지가 경기회복의 향방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반푸쿠 히로유키)
* 산케이신문 https://www.sankei.com/article/20231115-OH7Z5HR4ZRJ7TDVR7M677Q6KTI/ 2023/11/15 14:31
* 본 기사 번역은 JK Daily 책임하에 진행하였습니다.
<저작권자 ⓒ JK Daily,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