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물가 상승, 실질임금 상승 위한 중대 국면…열쇠는 기본급 인상, 렌고는 3% 이상 목표


(사진) 실질임금과 명목임금의 전년 대비 상승률 추이 (산케이신문)

일본 후생노동성이 6일 발표한 2023년 매월 근로통계조사에서 실질임금이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대기업은 지난해 춘투(춘계 노사협상)에서 평균 3.99%의 임금인상을 실시했지만, 실질임금이 감소하는 것은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가와 임금이 함께 상승하는 경제 선순환을 실현하기 위해 올해 춘투에서 임금인상 실현의 중요성이 한층 명확해졌다.

전 세계로 확산된 물가 급등
실질임금은 근로자가 받는 명목임금에서 물가변동 영향을 빼고 산출한다. 근로자의 순수 구매력을 보여주며, 개인소비 동향에도 영향을 준다.

실질임금이 부진한 가장 큰 요인은 고물가다. 코로나19 사태로 침체된 경제활동 재개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으로 전 세계에서 물가 폭등이 일어났다. 설상가상으로 일본에서는 엔화 약세가 이어지면서 식품과 연료 등 수입물가 상승에 박차를 가했다.

이에 기업도 임금인상에 나서게 되면서 명목임금도 상승했으나, 물가 상승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디플레이션으로 우선된 정기승급

실질임금을 올리는 데 중요한 것은 전 사원의 급여 수준을 일률적으로 인상하는 ‘베이스업(기본급 인상)’이다. 임금인상은 일반적으로 연령과 근속연수에 따라 매년 임금을 올리는 ‘정기승급’과 기본급 인상으로 구성된다.

디플레이션 상황 속에서 많은 일본 기업은 정기승급을 중심으로 임금 정책을 고심해 왔다. 기업 입장에서 전체 급여 지급액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근로자 입장에서도 물가 상승이 없다면 실질임금이 줄지 않기 때문에 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다.

다만, 지금처럼 인플레이션이 두드러진 경우 기본급 인상이 실현되지 않으면 실질임금이 줄어 생활 수준을 떨어뜨리게 된다. 총무성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제외) 상승률은 3.1%였다. 정기승급은 일반적으로 2% 정도다. 지난해 대기업 임금인상은 4% 가까이 달성했지만, 그중 기본급 인상은 2% 정도인 것으로 나타나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렌고)는 올해 투쟁 방침에서 기본급 인상은 3% 이상, 정기승급분과 합해 5% 이상의 임금인상을 목표로 설정했다. 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도 이 같은 방침에 이해를 표하며 4% 이상을 염두에 두고 있다. 경제 선순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임금인상도 중요해 정부 차원에서도 생산성 향상을 장려하는 설비투자 지원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요네자와 후미)

* 산케이신문  https://www.sankei.com/article/20240206-FT25X32DKBJ7ZBXSN73JEX6TQA/  2024/02/06 19:55

* 본 기사 번역은 JK Daily 책임하에 진행하였습니다.

<저작권자 ⓒ JK Daily,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